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구매하고 싶을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주식이 과대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때 사용하는 지표인 'PER'입니다.
1. PER에 개념과 계산 방법
주식 투자를 하려면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여러 가지 지표 중에서 'PER'은 기업의 가치와 적정 주가를 알아보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PER은 Price Earnings Ratio, 즉 '주가 수익 비율'을 의미합니다.
PER을 이해하려면 기업의 자본과 수익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자본으로 세운 회사가 1년 동안 100만 원의 순이익을 얻었다고 해봅시다. 그럼 이 회사의 전체 가치는 어떻게 될까요?
자본금 1,000만 원에 연간 순이익 100만 원을 더하면, 이 회사의 전체 가치는 1,100만 원입니다. 여기서 전체 가치 1,100만 원은 연간 순이익인 100만 원의 몇 배인지 계산해 보면 바로 그 값이 PER입니다.
경제 용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시가총액: 이 회사의 총 가치
- 자기 자본: 보유하고 있는 돈
- 당기순이익: 연 수익
그리고 실제로 PER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PER = 현재 주가 / 당기순이익
즉, 현재 주가를 한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2. PER 해석하기
PER은 시장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높은 PER: 현재 수입에 비해 고평가 된 상태로 보입니다.
- 낮은 PER: 기업 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상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애플과 테슬라를 들어보겠습니다(2023년 9월 25일 기준)
- 애플의 PER: 28.5 -> 미국 기업의 평균 PER인 20에 비해 조금 높은 편
- 테슬라의 PER: 65.8 -> 과거에는 코로나 시기에 주가 상승으로 인해 1000을 넘기도 했지만, 현재는 안정적으로 내려옴
대체로 PER이 10 이하면 저 PER주 라고하는데 PER가 낮다고 주식을 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테슬라에서 알 수 있듯이 PER가 높은 데는 이유가 있을 테니까요.
3. PER와 투자 전략의 관계
PER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왜냐하면 높은 PER이 반드시 고평가를 의미하지 않고, 낮은 PER이 저평가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각 기업의 성장 전망, 업계 동향,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ER는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시장이 해당 기업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주가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ER 이외에 지표에는 PBR, ROE, EPS, BPS, EV/EBITDA, 배당수익률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하나씩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파이팅!!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키우기 대작전! 가치 투자 vs 성장 투자 (0) | 2023.09.27 |
---|---|
제럴딘 와이스를 통해 배우는 배당주 투자의 기술 (0) | 2023.09.26 |
복리와 72법칙: 투자의 비밀 코드를 알아보자 (0) | 2023.09.24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은 어떻게 변하나? (1) | 2023.09.23 |
연준,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5.25~5.50% 유지 결정 (1)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