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재테크는 이제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재테크에는 수익성, 안정성, 환금성의 3원칙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은행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수익성은 낮지만, 주식과 부동산은 수익성은 높지만 위험성 또한 높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테크의 3원칙
재테크란 사전적으로 보유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재산을 불리는 행위를 뜻합니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원래 재무관리라는 의미로 기업에서 쓰는 말이었지만 지금 와서는 거진 가계의 자산관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고 하네요. 재무관리의 원래 의미였던 자금을 끌어 쓰고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위험자산, 안전자산 투자나 현금 저축을 넘어, 아예 가계부를 써서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불 필요한 생활비를 줄이는 행위까지 가리키게 된 것이라고 하네요.
1) 수익성
투자를 통해 얼마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저금리 환경에서 은행 예금의 수익률은 낮지만, 주식과 부동산 등 다른 투자 방법들은 상황에 따라 높은 수익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과 부동산의 수익률은 가변적이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2) 안정성
투자한 원금에 대한 손실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은행 예금은 원금을 보존하기에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 반대로 주식은 안정성이 낮고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주식보다 더 크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낮습니다. 부동산은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부동산 버블 시기에는 가치가 하락할 수는 있지만 실물 자산의 특징상 매도를 하여 손실을 확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환금성
투자한 자산을 얼마나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은행 예적금은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어 환금성이 높으며, 주식 또한 매도 후 2 거래일 후에 거래 대금이 입금되어 환금성이 높습니다. 재거래시 예수금 제도도 활용할 수 있고요. 부동산의 경우는 매수자를 찾는 시간과, 계약 시간이 필요해 환금성이 매우 낮습니다.
2. 결론
종류 | 예금 | 주식 | 부동산 |
장점 | 안정성, 환금성 | 수익성, 환금성 | 수익성, 안정성 |
단점 | 수익성 | 안정성 | 환금성 |
결론 | 저위험 저수익 | 고위험 고수익 | 중위험 고수익 |
위 표는 오늘 알아본 재테크 수단인 예금과 주식, 부동산을 비교한 표입니다.
은행 예금은 안정성과 환금성이 높지만 수익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식은 높은 수익률과 환금성을 가지나 안정성이 부족하며, 부동산은 안정적인 수익과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현금화가 어려운 점이 단점입니다.
요약하자면 예금은 저위험 저수익 재테크이고, 주식은 고위험 고수익, 부동산은 중위험 중수익 재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 요소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바로 세금입니다.
이어지는 다음 포스팅에서는 세금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세금 이외에 변수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FOMC 일정과 전망과 현재 주요 세계 경제 이벤트 (0) | 2023.09.18 |
---|---|
퇴직금? 퇴직연금? (DB, DC, IRP) 그래서 그게 뭔데? (0) | 2023.09.17 |
재테크는 3원칙(수익성, 안정성, 환금성)을 고려하고 나아가 세금까지 염두해두어야한다. (2) (0) | 2023.09.17 |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당신에게 - 파이어족 (FIRE) (1) | 2023.09.14 |
경제적 자유란? (재정적 자유 + 정신적 자유) (1)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