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당국이 공매도를 금지하겠다는 발표 이후, 코스피와 코스닥이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며 주식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공매도 금지가 주식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과거의 공매도 금지 사례 때의 주가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2023.11.06 - [경제적 자유] - 2024 6월까지 공매도 금지! 드디어
2024 6월까지 공매도 금지! 드디어
자본시장의 안정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정부가 발표한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 이는 공매도가 재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다시 이루어지는 것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turning-point-in-my-life.tistory.com
1. 공매도 금지에 따른 주식시장의 반응
지난 주말에 미국 증시가 상승한 영향으로 아시아 증시도 대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한국의 코스피는 4% 이상 급등하는 등 아시아 증시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한국 금융당국이 내년 6월까지 공매도를 금지하겠다는 결정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공매도란 주식을 빌려 팔고, 가격이 떨어졌을 때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돌려주는 투자 방식입니다.
2. 코스닥의 사이드카 발동
코스닥에서는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사이드카는 주가 변동성이 크게 증가할 때 주식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코스닥 150 선물 가격이 기준 가격 대비 6% 이상 상승하고, 코스닥 150 지수가 직전 거래일 대비 3% 이상 상승해 동시에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됩니다. 이번에 코스닥에서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2020년 6월 이후로 처음입니다. 이 또한 주식시장의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냅니다.
3. 공매도 금지의 영향
공매도 금지에 따른 주가 상승은 금융업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금융업종은 20.34% 급등하였습니다. 이는 공매도 금지로 인해 금융 업종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입니다. 또한 일반전기전자, 화학, 금속, 제조, 디지털 콘텐츠 등의 업종도 상승하였습니다.
4. 공매도 금지와 과거의 사례
과거의 사례를 보면 공매도 금지가 시행된 후의 주가 흐름에는 다양한 결과가 있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때 공매도가 금지되었을 때에는 코스피는 한 달 새 20% 넘게 하락하였고, 코스닥은 30%대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2011년 유로존 재정위기 때는 코스피가 5.4%, 코스닥이 11.8% 상승하였습니다. 가장 최근인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때는 코스피가 한 달 동안 6.5%, 석 달 동안 24% 상승하였고, 코스닥은 47.9%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공매도 중단 이후에는 외국인들의 순매도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공매도가 집중되어 주가가 눌려 있던 종목들이 잠시 반사 이익을 누릴 수 있지만, 숏커버링이 끝나고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주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주가 흐름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 빌더와 GPT 스토어, AI 챗봇으로 수익 창출 가능할까?? (0) | 2023.11.07 |
---|---|
2024년 공인중개사법 개정안, 전세사기 막을 수 있을까? (0) | 2023.11.07 |
2024 6월까지 공매도 금지! 드디어 (0) | 2023.11.06 |
메가 시티 서울? 이제는 안양까지?? - 3 (0) | 2023.11.03 |
메가 시티 서울? 김포시 서울 편입 논란 - 2 (0) | 2023.11.02 |